라면 수출실적, K콘텐츠와 K푸드
한 때 후라이팬으로 여겨졌던 한식은 짜파구리 외에도 한식 딤섬, 소주 등으로 확산되며 K-Food의 위상이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
해외에 가면 일본 방콕을 포함한 모든 종류의 아시아 음식을 먹을 수 있으며 일부 음식은 각 나라의 음식만 판매합니다.
그에 비해 한국의 식문화는 일본, 중국, 베트남 등 주변 국가에 비해 덜 알려져 있다.
하지만 한국 드라마, 영화, 음악 등 K-콘텐츠의 인기가 높아질수록 한식에 대한 관심도 그만큼 높아진다.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에는 미국과 유럽에서는 라면이 간식으로 여겨졌으나 최근에는 그 인식이 많이 바뀌었고 치즈와 같은 식사 대용식도 그 역할을 하게 되었습니다.
이 기록은 K푸드 열풍의 정점이 될 수 있다.
국내 라면 수출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짜파구리로 시작된 한국의 라면 열풍은 이제 하나의 대세로 자리잡아 당당히 국내 경제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관련 키워드는 짜파구리 조리법과 짜파구리 맛있게 끓이는 방법 대신 ‘한국 경제’, ‘수출’로 나타났다.
콰이어트 블래스트 “라면 아울렛”
한국무역협회에서 발표한 자료를 보면, 올 상반기 라면 수출액은 약 5000억원이었다.
지난해 상반기와 비교하면 수출이 20%가량 늘었고 매년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라면 수출은 2015년부터 늘었지만 코로나19 확산으로 2020년부터 급증하면서 간편식 수요가 늘었다.
지난해 상반기 수출 증가율이 5% 이상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고, 최근 코로나19가 대유행하면서 수요 감소 우려도 있었지만 그렇지 않았다.
일시적인 현상으로 여겨지던 라면 수요가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상반기 라면 수출
상반기 라면 수출국 주목 중국과 미국이 압도적인 1, 2위를 차지했고 일본, 대만, 필리핀이 그 뒤를 이었다.
일본과 대만을 제외하면 상위 10개국 중 8개국이 수출 증가세를 보였지만 일본과 대만은 각각 8.2%, 8.5% 감소했다.
특히 주목할만한 것은 대캐나다 수출증가율이 94%에 달했다는 점이다.
실제로 국내 라면시장 1위, 해외시장 5위(5049억원)인 농심의 국내 매출 외에 북미(미국·캐나다) 해외 매출도 1277억원이었다.
라면업계 ‘활기차게’ 국내 면류 시장 규모는 약 2조6000억원으로 앞으로 성장세가 높을 것으로 보인다.
2024년 2조6700억원을 넘어 2026년 2조8688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예상대로 농심과 우도기의 국내 라면 시장 점유율은 75%가 넘는다.
물론 농심과 옥뚝이의 차이는 거의 2배에 가깝다.
즉, 농심이 압도적인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