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창표 감독의 첫 장편영화이자 역학 3부작 중 2번째다.
궁합 영화 플롯
“세계의 모든 인연에는 궁합이 있다!
”
<관상> 제작진의 역학 시리즈!
관상은 잘 보셨나요? 지금 궁합을 보자!
어려운 흉년이 이어진 조선시대 송화연주(심은경)의 혼인만이 가뭄을 해소한다고 믿고 있는 왕(김상경)은 대대적인 부마의 저택을 실시해 조선 최고의 역사가 서 ·동윤(이승기)은 부마 후보들과 손화온주의 궁합을 맡게 된다.
맹렬한 팔자로 소문이나 과거의 혼돈을 거절된 이력의 손화영주는 얼굴도 모르는 사람을 남편에게 맞이할 수 없다고 판단하고, 부마 후보의 사주단자를 훔쳐 외출해 후보들을 차례로 학대하기 시작하는 송화영주가 사주단자를 훔친 궁녀라고 오해한 서도윤은 사주단자를 되찾기 위해 그녀의 여행에 함께 하게 된다.
매너 남자 남치호(최우식)에 대세 연하남까지!
조선의 팔을 바꾸는 최고의 합을 찾아라!
궁합영화 등장인물
심은경
송화옹주역
이승기
소도윤역
궁합 영화 평가
기자, 평론가평은 혹평. 일반 관람객들 사이에도 혹평이 우세하다.
역학 3부작 중 두 번째 작품이라고는 할 수 있지만, 전작이라는 관상에 비해 역학과의 연계성은 지지 부진한 수준이며, 어둡고 어두운 관상과 달리 부끄러울 정도의 밝은 분위기에 의해 호불 호가 나뉘어진다.
‘궁합’이라는 소재가 주를 차지하는 것도 아니고, 전작처럼 극의 곳곳에 잘 녹아 있는 것도 아니다.
궁합에 대해 다루는 부분은 굉장히 이승기가 맡은 서도윤이 화면에 문자가 날아다니는 특수효과와 함께 전문용어를 나란히 설명하고 있는 것이 전부이지만, 단순히 서도윤이라는 캐릭터의 매력을 드러내기 위한 장면만 기능적으로 소비되기 때문에 관객들에게 쉽게 다가가지 않고, 그래도 전문용어의 남발로 무슨 말을 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
관상에서 송강호가 연기한 관상가 김나경이 전문 용어를 사용하지 않아도 관상학을 알기 쉽게 풀어낸 것과는 대조적인 부분.
결국, 본작에서 궁합은 관객을 잡기 위한 헐이었던 것만으로 실질적으로는 역학과는 전혀 관계없는 조선시대 배경의 로맨틱 코미디고, 볼거리 송성연주와 서도윤의 로맨스가 모두인데 디테일 에 파고와 어디에서 한 번 본 이야기의 연속이다.
게다가 송화영주의 캐릭터도 마치 자신의 생각대로 살 수 없는 궁중에서의 삶에 염증을 느낀 차에 얼굴도 모르는 남자와 혼인하는 상황에 빠지면 이를 벗어나 자신의 운명을 스스로 개척한다 하기 위해 행동하는 것처럼 보였지만, 막상 작중에서 송화옹주가 능동적으로 한 것과는 능숙하게야말로 변모를 하고 돌아다니면서 부마 후보들의 4주 단자를 훔칠 정도였을 뿐, 실상은 서・도윤의 도움을 받아 모든 위기를 빠지는 철저하게 수동적인 캐릭터에 불과했다.
영화 배경이 조선시대이며 작중 송화영주의 신분을 감안해도 여주인공 캐릭터가 스토리에서 주체적으로 행동하는 모습을 별로 보여주지 않는 것이다.
그렇다고 남주인공 소도윤의 캐릭터가 매력적인지 아닌지가 아닌 것이, 작중에서 하는 행동을 보면 전형적인 로맨틱 코미디 남자 주인공의 패턴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 데다 후반에 불필요한 혼인을 하자 이 된 송화영주의의 혼례에 난입해 기꺼이 하는 것도 자기력으로 무언가 행동하고 송화옹주를 구하는 것이 아니라 임금에 진실을 알리고 모든 처분을 임금에 맡기는 것 뿐이다.
오히려 결혼식장 난입 크리쉐를 따라 송화옹주를 데리고 도망쳐도 치면 일반적인 연출이라도 극에 아주 조금이라도 변수를 줄 수도 있었을 텐데 그것조차 할 수 없었다.
이 영화가 3년 만에 공개한 이유는 영화 외적인 이유가 없다는 것을 영화 스스로가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